대한민국의 제약 산업은 1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글로벌 의약업계에서 주목받는 혁신 신약을 잇달아 내놓고 있습니다. 유한양행의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은 것은 이러한 흐름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 신약의 승인은 국내 제약 산업의 발전을 증명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약 개발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투자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국내 신약의 글로벌 진출
1.1 유한양행의 렉라자
유한양행의 ‘렉라자’는 국내에서 개발된 최초의 항암제로, FDA 승인을 받은 것은 국내 신약 개발의 성과를 인정받은 것입니다. 렉라자는 얀센과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하여 800억 원 상당의 마일스톤(기술료)를 받을 예정입니다. 이 신약의 승인은 국내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1.2 종근당의 첨단 바이오 의약품
종근당은 세포·유전자 치료제(CGT)와 ADC 항암제 등 첨단 바이오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종근당은 네덜란드 시나픽스와 항체-약물 접합체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하여 관련 플랫폼 기술 3종의 사용 권리를 확보했습니다. 이 신약은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HDAC6을 억제하는 신약후보물질로, 난치성 유전병인 사르코마리투스병과 심방세동 치료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1.3 한미약품의 신개념 비만 치료제
한미약품은 ‘H.O.P 프로젝트’ 비공개 파이프라인으로 개발한 신개념 비만 치료제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 신약은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여 체중 감량 시 근육 손실을 동반하지 않도록 디자인되었습니다. 오는 11월 미국비만학회에서 이 후보 물질의 타깃 및 비임상 연구 결과가 처음 공개될 예정입니다.
2. 정부의 지원과 투자
2.1 정부의 보이지 않는 노력
정부는 국내 바이오·제약 기업들의 신약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국내 바이오벤처 제노스코에서 개발한 후보물질이 유한양행에 이전돼 사업화와 국내 임상을 거쳐 얀센에 기술 수출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쳐 R&D와 안정성 시험 관리 등을 지원했습니다.
2.2 경제적 파급 효과
정부는 글로벌 신약 개발 가속화를 위해 투자와 지원에 박차를 가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이는 국내 제약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약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3. 글로벌 의약업계의 주목
3.1 비만 치료제의 필수의약품 지정
세계보건기구(WHO)는 2021년 비만을 질병으로 규정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비만 치료제를 필수의약품에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전 세계 비만 인구는 약 10억 명으로 추산되며, 골드만삭스는 비만약 시장 규모가 2030년 130조 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3.2 한국인 맞춤형 비만 치료제
한미약품이 개발한 에페글레나타이드는 현재 국내 임상 3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신약은 한국인의 체형과 체중을 반영한 맞춤형 비만 치료제로, 글로벌 제약사의 약물들과 차별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4. 향후 전망
4.1 보령의 당뇨병 치료제
보령은 고혈압·고지혈증 등 만성질환 시장 개척 경험을 살려 당뇨병 치료제 시장에 적극 도전하고 있습니다. 보령은 2023년 SGLT-2 억제제 ‘트루다파’를 출시하여 해당 제네릭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트루버디’도 시장에 선보여 치료 효과를 높이고 환자의 부담을 줄이는 개량 신약으로 개발되었습니다.
4.2 글로벌 50대 제약사 도약
유한양행은 렉라자 FDA 승인에 이어 혁신 신약 개발을 이어나가 글로벌 50대 제약사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포스트 렉라자를 위한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면역항암제(YH32367)와 알레르기 치료제(YH35324)가 유력 후보 약물로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5. 결론
국내 제약 산업의 발전은 글로벌 의약업계에서 주목받는 혁신 신약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입니다. 정부의 지원과 투자, 국내 기업들의 연구개발 노력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약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향후 전망은 밝고, 국내 제약 산업은 더욱 발전하고 글로벌 주목을 받을 것입니다.
참고 자료
- [유한양행, FDA 승인]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40928/130118598/2
- [종근당, ADC 항암제 개발]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40928/130118598/2
- [한미약품, 신개념 비만 치료제]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40928/130118598/2
FAQ
Q1. 글로벌 의약업계에서 주목받는 혁신 신약은 무엇인가요?
A1. 글로벌 의약업계에서 주목받는 혁신 신약은 유한양행의 ‘렉라자’와 종근당의 ADC 항암제 등이 있습니다.
Q2. 정부는 국내 제약 산업에 어떤 지원을 제공하고 있나요?
A2. 정부는 국내 바이오·제약 기업들의 신약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국내 바이오벤처 제노스코에서 개발한 후보물질이 유한양행에 이전돼 사업화와 국내 임상을 거쳐 얀센에 기술 수출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 걸쳐 R&D와 안정성 시험 관리 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Q3. 향후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A3. 향후 전망은 밝고, 국내 제약 산업은 더욱 발전하고 글로벌 주목을 받을 것입니다. 정부의 지원과 투자, 국내 기업들의 연구개발 노력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신약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